헌법소원을 진행하면서, 아주 오래전부터 준비해 온 캠페인이 있습니다. 헌법소원을 청구하고 4년이 넘는 시간동안, 우리는 법정 밖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끊임없이 찾았습니다. 우리의 소송이 필요한 사람들은 흔히 헌법재판소에 의견을 내는 권위있는 사람들이 아니었습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기후위기 문제에 있어 기후에 대한 주류적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는 사람들에 의해 단순히 배제되거나, 피해의 대상 또는 시혜적인 대상으로만 여겨집니다.
기후운동을 해오는 동안 우리는 이런 고민을 반복적으로 마주했습니다. 기후위기 앞에 대상화되고 소외되는 것을 넘어 우리 모두가 권리를 가진 주체로서 존재할 수는 없을까. 캠페인에 사람들이 참여하는 과정에 좀 더 유의미하고 실질적인 장치를 마련할 수는 없을까. 좋아요와 지지,응원을 남기는 것을 넘어서 실제 우리와 함께 하는 이들의 말이 좀 더 실질적인 변화로 다가가게 할 수는 없을까. 좀 더 효능감을 찾을 방법은 없을까.
권위가 없는 사람도, 자신의 말을 가질 겨를이 없는 사람도, 기후위기를 항상 고민하는 사람도, 자신의 말과 권리로 법정에 관여할 수 있어야한다 생각했습니다. 정부가 국민이 기후위기의 당사자가 아니라고 말할 때, 어려운 법적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누구나 자신이 기후위기의 당사자임을 말할 수 있어야한다 생각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헌법재판소에 제 3자 의견서를 제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 3자가 법정에 관여할 수 있는 이 방법은 대부분 권위를 조건으로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걸 깨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기후위기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고민하는 모든 사람들의 말을 ‘국민참여의견서' 라는 이름으로 모으기로 결정했습니다.
기후 헌법소원은 우리가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을 지켜주는 모두의 기후소송입니다. 공개변론까지 끝나고, 이제 기후 헌법소원은 정말 판결만 남아있습니다. 국민참여의견서는 헌재에게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자신의 권리를 말할 수 있는 창구로서 국민참여의견서를 모을 것입니다. 국민참여의견서 캠페인은 <기후대응 이의있음, 우리의 말은 헌법재판소로 간다>는 슬로건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국민참여의견서를 모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한마디의 말도, 한페이지의 글도 모두 좋습니다. 기후위기 앞에 말하기가 익숙치 않아도 괜찮습니다. 청소년기후행동은 국민참여의견서를 모으기 위해 말할 자리, 함께 쓰는 자리들을 만들며 전국을 돌아다닐 예정입니다. 온라인으로는 헌법재판소에 보내는 ‘말'들을 말풍선으로 모으는 캠페인이 진행됩니다. |